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- plsql
- 폭포수 모형
- Bandit Level 6 → Level 7
- mysql 튜닝
- 시스템 파악
- 커맨드공부
- Law of Demeter
- java.sql.SQLRecoverableException
- springboot
- 나선형 모형
- 스크럼기법
- avax.net.ssl.SSLHandshakeException:
- vue
- 프로토타입 모형
- 디미터 법칙
- 에자일 모형
- 클린코드
- was SQLRecoverableException
- 변수명 짓는법
- table scan
- pl/sql
- 인증서만료에러
- 시스템 파악 정리
- SQLRecoverableException
- was버그
- 명령어공부
- OpenAPI
- Bandit Level 6
- Bandit Level 5
- CSS
- Today
- Total
목록개발/개인공부 (5)
개발햄비
소프트웨어 아키텍처 ▶︎ SW/ 아키텍처 뜻 : 기본 구조, 개발 기반 ▶︎ 품질 유지 , 원칙 , 지침 ▶︎ 모듈 = 부품 아키텍처 기본원리 ▶︎ 모듈화 : 유지관리에 좋음 ( 많으면 통합비용 증가 / 적으면 개발비용 증가) ▶︎ 추상화 : 포괄적 개념, 구체화 하기 위해 필요, 가성비, 구조파악 ex) 로그인 기능, 아이디 찾기 , 회원가입 등 -> 인증 기능 ▶︎ 단계적 분해 : 하양식, 추상화의 반복으로 더 많은 단계의 분해 가능 ▶︎ 정보 은닉 : 접근금지, 별도의 인터페이스 사용, 유지보수에 용이 시스템 : 성능,보안 비즈니스 : 비용, 자원 아키텍처 : 결함 ▶︎ 목표 - 시스템 타입 - 아키텍처 패턴 - 시스템 구체화 - 검토 아키텍처 패턴 1. 레이아웃 패턴 ( 계층 패턴 ) ▶︎ 각각의..
1. 인터페이스 UI 특징 ▶︎ 사용자의 만족감에 가장 큰 영향 -> 자주 바뀜 ▶︎ 가독성 증가, 작업시간 감소, 이해도 증가 ▶︎ 최소한의 노력으로 원하는 결과 얻음 ▶︎ 수행결과 오류 적어짐, 구체적 방법 제시 ▶︎ 정보 제공자와 공급자 간의 매개역할 ▶︎ 소트웨어 아키텍처를 반드시 숙지해야함 사용자가 시스템을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한 매개체 UI 구분 ▶︎ CLI : command Line Interface 리눅스, 텍스트 ▶︎ GUI : Graphical User Interface 윈도우 . 마우스 클릭 ▶︎ NUI : Natural User Interface 음성 UI 기본원칙 유유학직 ▶︎ 유연성, 유효성, 학습성 ,직관성 설계지침 ▶︎ 사용자 중심 설계 Web 표준지침 ▶︎ 표준 시킬 시 :..
1. 시스템 파악 구기인아소하네 구 : 시스템 구성 파악 : 기간 업무, 지원 업무,시스템 별 기능 명시 기 : 시스템 기능 파악 : 계층형으로 표시 인 : 시스템 인터페이스 파악 : 주고 받는 데이터 종류 및 형식 파악, 프로토콜 등 아 : 시스템 아키텍쳐 파악 : 주요 업무(기간) 시스템 동작 기술원리 파악 소 : 소프트웨어 파악 : 소프트웨어 용도, 라이선스 적용 방식 및 개수 파악 하 : 하드웨어 파악 : 서버 사양 , 수량 및 이중화 (백업) 여부 파악 네 : 네트워크 파악 : 네트워크 구성도 작성, 물리적 위치 파악, 보안 취약성 파악, 유지보수에 활용 2. 개발 기술 환경 파악 1. 운영 체제 (OS) ▶︎ 컴퓨터 시스템 자원 관리 ▶︎ 체크 포인트 : 주변기기를 지원하는지 파악 2. DBM..
1. 폭포수 모델 (Waterfall Model) 1-1. 각 단계 별 확실하게 매듭지어 끝냄 1-2. 2개 이상 과정을 병행하지 않음 1-3. 메뉴얼 필수 타당성 검토 - 계획 - 요구 분석 - 설계 - 구현 (코딩) - 시험 (검사) - 유지보수 2. 프로토타입 모델 (protoType model) 2-1. 인터페이스 중심의 개발 2-2. 폭포수 모형의 단점 보완 2-3. 디자인 및 마감처리보단 최대한 기능 우선 2-4. 요구사항이 불분명할 때 -> 요구사항의 정확한 파악이 필요할 때 사용 3. 나선형 모델 ( Spiral Model) 3-1. 계획 - 분석 - 개발 -평가 (반복) 3-2. 여러번의 개발 과정 3-3. 점진적 개발로 정밀성, 유지보수 불필요 3-4. 위험관리 , 최소화 3-5. 대규..
1. 개발 환경 구축 개요 프로젝트를 이해하고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장비 구축 개발환경은 운영환경과 비슷하게 구성 분석 단계에서 개발에 필요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선정 1-1. 하드웨어 환경 ( 클라이언트 + 서버) 사용자와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는 클라이언트와 , 클라이언트와 통신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웹 서버 ( Web Server) 클라이언트에 직접 요청을 받아 처리하는 서버 , 저용량의 정적 파일 제공 ex) Apache Http server , css , html 파일 등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 ( WAS : Web Application Server ) 동적 서비스 제공, 데이터 가공 수행, 웹서버와 파일서버 사이에서 인터페이스 역할 ex) Apache Tomcat 등 데이터베이스 서버 D..